본문 바로가기

카카오톡 봇 강좌

[카카오톡 봇] 문자열 위치 찾기

안녕하세요 버구칠입니다

 다시 초심부터 하기 위해서 제 원래 블로그에 있던 거를 좀 더 개선해서 작성할 예정입니다


오늘은 indexOf 와 lastIndexOf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인덱스오브와 라스트인덱스오브는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의 위치를 찾을때 사용됩니다


indexOf = 문자열 앞에서 부터 찾기 시작합니다

lastIndexOf = 문자열 뒤에서 부터 찾기 시작합니다



소스를 보시면 메시지 처음 부분이 시작일때

변수 b는 "안녕 나는 바보다 만나서 반가워"라는 문자열 등등입니다


여기서 변수 c는 b에서 문자열에 "나"의 위치를 답변합니다

문자열 위치는 첫번째가 0입니다


안=0 녕=1 공백(띄어쓰기)=2 나=3 이 됩니다

 

정확히 3이라고 출력됩니다 만약 없으면 -1로 답변됩니다






이번에 라스트인덱스오브 입니다

첫 부분인 메시지가 msg.lastIndexOf("시작")==2 이런식입니다


라스트인덱스오브는 뒤에서 부터 찾기 때문에


그냥 시작 이렇게 입력하시면 작동을 안합니다 즉 앞에 "빼애시작" 이렇게 입력해야 됩니다

빼=0 애=1 시작=2 그리고 시작이 뒤에 있기 때문에 작동됩니다




변수 c를 이번에는 인덱스오브대신 라스트인덱스오브로 바꾸고 실행해보겠습니다


이번에는 11이 나왔습니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라스트인덱스오브는 뒤에서 부터 위치를 찾아옵니다


"안녕 나는 바보다 만나서 반가워"


안=0 녕=1 (띄어쓰기)=2 나=3 는=4 (띄어쓰기)=5 바=6 보=7 다=8 (띄어쓰기)=9 만=10 나=11


인덱스오브 같은 경우에는 앞에서 찾았기 때문에 3을 출력합니다

근데 라스트인덱스오브 같은 경우 뒤에서 부터 위치를 찾아오기 때문에 앞에 "나"를 무시하고 뒤에 있는 

"나"의 위치를 찾아왔습니다



idexOf 와 lastIndexOf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따로 질문하실분 있으면 밑에 사진 클릭해서 연락드리면 됩니다




'카카오톡 봇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톡 봇] 도청 강좌  (9) 2019.02.01
[카카오톡 봇] 배열 강좌  (3) 2019.01.13
[카카오톡 봇] 파싱 강좌~!  (0) 2019.01.12